Project location: Mulgeum-eup, Yangsan-si, Gyeongsangnam-do, Republic of Korea
양산시 물금읍 범어리, 오봉산 자락에 있는 건물은 90년대 지구단위계획에 의해 만들어진 격자형 경사지 마을에 있다. 대지는 정방형으로 4m의 높낮이 차이가 있으며 인접 대지의 건물로 둘러싸여 있어, 공사에 따른 주변 건물의 안전을 고려해 가시설을 계획했다. 하층부는 마을공동체를 위한 근린생활시설, 상층부는 두 가족이 더불어 살아갈 주거를 계획했다.주거에서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의 균형을 조율하는 고민에서 출발했다. 다음의 3가지 공간원칙으로 건축 구성 방향을 설정하여, 내외부의 관계에 따른 열린 구조를 만들었다. 수직 공간에 따른 동선계획으로 공간의 변화를 연출하며, 내부 공간의 환기, 빛과 그림자에 대한 고민을 담았다.
공동 주거문화 대안 제시
공동육아, 사랑방, 이웃사촌, 도시화에 따른 잃어버린 가치에 대한 건축적 접근을 시도했다. 공간 사이 비워낸 장소에 지역공동체 거점 장소를 계획했다. 마을공동체, 교육이라는 공통의 주제로 이웃사촌이 함께 만들어갈 삶과 마을이 변화되는 모습에 주목한다. 이는 공간이 주는 변화의 모습으로 아파트로 대변되는 주거문화에 대안을 제시한다.
경사지 건축의 새로운 재미를 찾아서
건물의 형태는 공간구조에서 높이에 따른 위상의 변화를 가진 판과 주거공간, 구조물의 비례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과정이다. 이는 경사지 대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결과이다. 가시설을 바탕으로 구조 벽을 만들며 주차공간 및 선큰가든을 계획했다. 마을 길을 1층으로 확장해서 두 세대로 진입하는 복도를 구성하며 주거동은 공용 마당으로 연결된다. 주거는1층과 2층은 거실 공간, 2층과 3층은 침실 공간으로 구성된다. 복층구조의 거실은 발코니와 연결되어 있어 개방감을 느낄 수 있다.
비맞벽 공업화 주택
제한적 환경에서 모듈 설계에 따른 공업화 주택을 해석했다. 주택동은 거주자의 개성을 반영한 공동주택 양식을 따르며, 지하층 구조에 따른 상부 형태를 만들었다. 5x9m폭에 따른 내부 공간의 단점을 3m의 공용 마당을 활용해 극복했다. 벌어진 틈을 통해 빛이 충만하며, 환기가 잘 되는 단독주택과 같은 거주환경을 제공한다.
This building is located at the foot of Mt. Obong, Bumeoh-ri, Mulgeum-eup in Yangsan-si. The building area is in a grid-type slope village created with the 90s district unit plan. The ground is square and has a 4-meter height difference. It is surrounded by buildings on the adjacent land, so a temporary structure was built to provide safety to the surrounding buildings during the construction. The lower part was planned as a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for the village community, and the upper part was planned as a residence where the two families live together.
While the project was being developed, it was concerned that the balance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realm for the residence with the following three spatial principles; space changes from the traffic route based on the vertical space, the ventilation of the inner space, and the light and shadow, set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direction and resulted in an op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
I took an architectural approach to find the lost values that are co-parenting, a reception room, and good neighbors according to urbanization. I planned a base for the local community on the vacated area between the spaces. It focuses on the way in which neighbors share their lives together and change their villages with a common theme of village community and education. This presents an alternative housing culture, which used to be represented by apartments, as a change of space.
The shape of a building is a process of various interpretations having a change in phases based on height, the residential space, and the proportion of the spatial structure. This is the result of an aggressive utilization of slope land. Based on the temporary structure, I planned a structural wall, parking spaces, and a sunken garden. The road is connected to the alley on the first floor of the building so you can access two different residential spaces. Also, the residential building is connected to the common yard. The residences consist of a living room on the first and second floors, and a bedroom o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The multi-layered living room is connected to the balcony, so there is a sense of openness.
In a limited environment, I interpreted the industrialized house according to the module design. The residential building followed the common residential style reflecting the desires of the residents and the upper structure shape was based on the underground structure style. The disadvantage of the internal space according to the width of 5 x 9M was overcome by utilizing the 3M common yard. It provides a residential environment as a single-family house that is filled with light through a gap and is well-ventilated.